[마운티니어링] 안전벨트 - harness(하네스)
안전벨트가 개발되기 이전의 등반가들은 로프를 허리에 감고 보울라인 매듭을 했다. 등반자가 추락을 하면 로프가 허리를 조이면서 흉부로 쓸려올라와 척추, 등, 갈비뼈에 심한 부상을 입혔다. 그러나 안전벨트가 개발되고 실용화하면서부터 이런 위험은 줄어들었다.
등반용 안전벨트는 허리에 착용하는 하단벨트(sit harness), 가슴에 착용하는 상단벨트(chest harness), 상·하단을 연결하는 전신벨트(full body harness) 등 세 가지 형태가 있으며, 현재는 허리에 두르고 허벅지에 끼우는 형태의 하단벨트가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안전벨트는 자신의 체격과 체중에 알맞은 것을 선택해야 하며, 등반 형태에 따라 적합한 것을 써야 한다.
하단벨트는 허리를 두른 허리벨트와 다리를 끼운 다리 고리가 알맞게 연결되어 엉덩이를 포근히 감싸 추락시의 충격을 골반 전체로 분산한다. 다리 고리는 쉽게 조절할 수 있어야 옷을 두텁게 껴입는 겨울철에도 쓸 수 있으며, 허리벨트와 다리 고리에 패드가 들어 있어야 장시간 동안 매달려 있어도 편하다.
하단벨트는 착용이 편한 대신 오버행 같은 곳에서 몸이 뒤집혀 추락할 경우 전신벨트에 비해 안전도는 떨어진다. 안전벨트를 허리에 착용할 때 허리띠(strap)는 조임 버클을 한 번 통과하고 뒤로 꺾어 한 번 더 되감아 통과해야 풀릴 염려가 없다. 허리띠는 버클 뒤로 적어도 5~8센티미터 정도 여분을 남겨야 큰 충격에서도 빠질 염려가 없다. 안전벨트는 제품사별로 여러 디자인이 출시되고 있으나 구조가 간단하고 복잡하지 않은 디자인이 좋다. 허리벨트 양쪽에는 장비걸이가 있는 것이 쓰기에 편하다.
상단벨트는 프루지크 매듭이나 어센더를 이용해 고정로프를 올라갈 때 몸 자세가 바로 세워질 수 있도록 도와주지만 추락의 충격에 가슴뼈가 더 쉽게 부상당할 수 있다. 상단벨트는 긴 슬링으로 즉석에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폭 2.5센티미터, 길이 2.9센티미터 웨빙 러너로 양쪽 끝을 물 매듭으로 묶어 고리를 만든 다음, 고리를 반으로 비틀어 2개의 고리를 만들고 각 고리에 팔을 끼워넣고 슬링을 머리 위로 들어올려 등 뒤로 넘기면 등에서 겹쳐지게 된다. 두 끝을 앞으로 당겨 가슴 앞에서 카라비너로 연결하면 상단벨트가 완성된다.
상단과 하단벨트를 일체형으로 만든 전신벨트는 로프를 묶는 부분이 높기 때문에 추락 중에 몸이 뒤로 뒤집혀질 가능성을 줄여주며, 추락의 충격을 신체의 모든 부분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척추 부상의 위험을 줄여준다. 그러나 탈착이 불편하고 무겁기 때문에 별로 인기가 없다. 하지만 UIAA에서 안전성을 인정한 벨트는 전신용 벨트뿐이다.
안전벨트는 용도에 따라 일반용, 동계용, 경기 등반용(자유등반용)으로 구분한다. 일반용은 허리벨트와 다리 고리가 두껍고 장시간 매달려도 편하도록 허리와 다리에 패드가 들어 있어야 한다. 동계용은 허리벨트와 다리 고리에 패드가 들어 있지 않아 눈이나 물기에 젖어 얼어버리는 일이 없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경기등반용은 가볍고 착용감이 좋아 난이도 등반에 적합하나 내구성과 강도는 다소 떨어지므로 자연을 무대로 하는 알파인 등반에는 적합하지 않다.
안전벨트는 구조가 간단하고 재질, 박음질 상태, 허리 조임 버클의 강도, 충격 분산 구조 등을 면밀하게 살펴본 후에 선택해야 한다. 안전벨트도 시간이 지나면 약해지므로 반드시 수시로 검사해 보고 로프와 같은 주기로 교체해야 한다. 무게를 줄인 가벼운 제품과 추락의 충격을 받은 안전벨트는 박음질 부분이 뜯어졌거나 봉제 실이 낡아 풀어져 있다면 폐기해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안전벨트 (등산상식사전, 2010. 10. 7., 이용대, 한국등산연구소)
A, B, C, : 장비가 잘 고정되었는지와 장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움직여 보거나 장비에 매달려 봐야 한다.
D : 안전벨트와 확보줄 간의 매듭은 되감기 8자매듭을 이용하여 매듭을 맺고 8자매듭의 끝은 옭매듭으로 마무리한다.
E. 이중확보지점 : 확보고리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F. 한개의 확보지점
G. 2개의 카라비너를 확보지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 탑로핑,
* 개폐구에 하중이 실릴 수도 있기 때문에 절대 한개의 잠금 카라비너 만을 사용하여 확보지점을 만들어서는 안된다.
* 최근에는 잠금 HMS 카라비너 하나를 이용하기도 한다.